안녕하세요 오늘은 Linux telnet 서버에 관해서 포스팅 할건데요!!
telnet은 원격지에서 telnet으로 리눅스 서버에 접속을 하는것을 뜻합니다.
요즘은 보안에 취약하기에 사용하진 않지만, 알아두시면 필요할때 사용가능합니다!
-TELNET이란?
텔넷은 ''원격접속 서비스''로서 특정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다른 컴퓨터에 연결하여 그 컴퓨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텍스트 기반의 명령어로 제어를 하는 것입니다.
예전에 PC 통신이 인기 있을 때 모뎀으로 많이 접속하시던 하이텔, 천리안, 유니텔, 나우누리 등에 접속하시는 것도 일종의 telnet 접속에 해당하는 것으로, 여러분의 컴퓨터에는 각종 PC통신에서 사용하시는 대화방이나 게시판 검색 등의 기능이 없지만 원격지의 컴퓨터에 접속하여 그러한 서비스를 제공 받음으로써 마치 자신의 컴퓨터가 제공하는 것처럼 사용하게 해주는 그런 방법입니다.
시작하겠습니다!
1.Linux에서 root 사용자로 접속하고 터미널을 엽니다.
yum으로 텔넷 서버를 설치해줍니다.
2.systemctl로 telnet 서버를 시작해주시고 상태를 체크합니다. (시작이 잘 되었으면 active가 뜰것입니다)
3.adduser로 telnet에 사용될 id를 생성해줍니다. (저는 제 이니셜인 kh로 만들었습니다.)
4.windows에서 telnet을 시작하기 위해 [제어판]에서 [프로그램 및 기능]을 클릭하고 [Windows 기능 켜기/끄기]를 눌릅니다
5.텔넷 클라이언트에 네모박스를 체크해주시고 <확인> 버튼을 눌러줍니다.
6.명령 프롬프트 창을 열고 ping을 날려 server와 연결되는지 확인한 후에 'telnet 192.168.111.100' 을 입력해 텔넷 접속을 시도합니다.
그런데 한참을 기다려도 텔넷이 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Linux 서버에 방화벽을 설정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방화벽을 설정하러 가보도록 합시다.
7.터미널 창에서 'firewall-config' 명령을 입력해서 방화벽이 나오면 [설정]을 [영구적]으로 변경하고 서비스에서 telnet을 체크하도록 합시다.
8.다시 명령 프롬프트 창으로 돌아와서 'telnet 192.168.111.100'을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아까 'adduser'로 만들었던 id를 입력하고 접속하시면 텔넷으로 Linux 서버가 연결이 됩니다.!! 와~~~
* telnet서버를 재부팅후에도 가동시키려면 Linux에 터미널에서 'systemctl enable telnet.socket'을 입력하면 됩니다.
이로써 telnet이 완성되었습니다. 보안상의 문제 때문에 자주 사용은 하지 않으나 텔넷은 가장 기본적인 것이므로 꼭 알아두고 몇번 반복하면서 확실히 알아두기로 합니다.
오늘의 telnet 포스팅은 이로써 마무리 하겠습니다.
다음은 APM구축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잘 따라와주셔서 감사합니다.